컴퓨터 관련/리눅스
1. 리눅스 디렉터리 종류와 특징
0wner
2021. 4. 30. 21:52
728x90
반응형
1. 디렉터리 종류
1.1. 디렉터리 종류
디렉터리 | 저장 내용 |
---|---|
/ | 최상위 디렉터리. 출발점인 동시에 다른 시스템과의 연결점 |
/boot | 부팅시 커널 이미지와 부팅 정보 파일 저장 |
/proc | 커널의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 현재 실행되는 프로세스와 실제로 사용되는 장치, 하드웨어 정보 저장 |
/lib | 공유 라이브러리 디렉터리 |
/bin | 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터리 일반 사용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디렉터리 |
/dev | 시스템 디바이스 파일들을 저장하는 디렉터리 |
/etc |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 저장 디렉터리 |
/root | 관리자용 홈 디렉터리 |
/sbin | 관리자용 시스템 표준 명령 및 시스템 관리와 관련된 시스템 실행 명령어 저장 |
/usr | 사용자 디렉터리. 사용자의 데이터나 애플리케이션 저장 |
/home | 사용자 홈 디렉터리 일반 사용자가 처음 로그인시 위치하는 디렉터리 |
/var | 가변 자료 저장 디렉터리. 로그 파일이나 메일 데이터 저장 |
/tmp | 임시로 생성되는 파일 저장 모든 사용자에 대해서 읽기와 쓰기가 허용 파일 소유자만이 자신의 소유 파일 삭제 가능 |
/mnt | 파일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마운츠 할 때 사용 |
/lost+found | 결함이 있는 파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디렉터리 |
2. 디렉터리 별 특징
2.1. /proc
- 가상 파일 시스템
- 시스템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들에 대한 내용과 프로그램 정보 포함
- 디렉터리에서 보는 것은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음
- 이 디렉터리나 하위로 접근 할 때 마다, 커널에서 파일 내용을 동적으로 만들어 냄
- 고유한 식별자를 가진 디렉터리 밑에 프로세스 정보를 저장
2.2. /dev
- 장치를 파일화 하여 저장. 장치를 실행하기 위해, 해당 파일을 실행
- 블록 장치 파일: 저장 장치 / 문자 장치 파일: 입출력장치
2.3. /etc
- 시스템 환경설정 파일과 부팅 관련 스크립트 파일
디렉터리 | 설명 |
---|---|
/etc/rc.d | 부팅 레벨별 부팅 스크립트 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터리 |
/etc/rc.d/init.d | 시스템 초기화 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터리 |
/etc/mail | sandmail의 설정 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터리 |
/etc/xinetd.d | xinetd 슈퍼 데몬에 의해 서비스되는 서비스 설정 파일이 저장된 디렉터리 |
/etc/ssh | sshd 데몬에서 사용하는 각종 설정 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터리 |
/etc/samba | 삼바 관련 설정 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터리 |
- 사용자 정보 및 암호 정보 파일, 보안 파일
디렉터리 | 설명 |
---|---|
/etc/group | 그룹의 정보가 담겨 있는 파일 |
/etc/passwd |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목록 저장 |
/etc/shadow | - /etc/passwd의 두 번째 필드인 패스워드 부분을 암호화 관리 - 패스워드 만기일, 계정 만기일 등을 설정 |
2.4. /usr
-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디렉터리
- 이 디렉터리를 공유해서 설치된 프로그램들을 활용
- /usr 디렉터리는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
- /var 디렉터리는 심볼릭 링크로 사용
- /usr의 세부 사항
이름 | 설명 |
---|---|
/usr/bin |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가능한 명령어 파일들이 존재하는 디렉터리 |
/usr/X11R6 | X윈도우 시스템의 루트 디렉터리 |
/usr/include | C프로그램에 필요한 헤더 파일 디렉터리 |
/usr/lib | /lib에 들어가지 않는 라이브러리 디렉터리 |
/usr/local | 에플리케이션을 소스로 컴파일하여 설치할 때 이용하는 디렉터리 |
/usr/share/man | - 명령어들의 도움말을 주는 메뉴얼 페이지 저장 -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모든 man 페이지 파일이 존재 |
2.5. /var
- 시스템에 사용되는 가변길이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터리
- /var의 세부 사항
이름 | 설명 |
---|---|
/var/tmp | Sticky Bit이 설정되어 있는 공용 디렉터리 |
/var/log | 시스템 로그 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터리 |
/var/named | DNS에서 사용하는 Zone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터리 |
/var/spool/lpd | 프린터 임시 디렉터리(스풀링 디렉터리) |
/var/spool/mqueue | 발송을 위한 메일 일시저장 디렉터리 |
/var/spool/cron | cron설정 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터리 |
/var/spool/at | 예약 작업에 관한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터리 |
2.6. /lost+found
- fcsk에 의해서 사용되는 디렉터리
- 평상시에는 null 파일 링크에 의해서 비어있는 상태로 존재
- fcsk, ext2 프로그램도 이 디렉터리를 사용
출처: 이기적 리눅스마스터 2급 기본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