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74)
[F-Security] Level1. 문제 풀이 STEP1. 해당 실행 파일의 패킹여부를 조사한다. 실행파일이 패킹이 되어있다면, 본격적인 리버싱을 하기 이전에 언패킹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PEiD와 IAT를 확인하여, 패킹여부를 확인한다. 웬만한 패킹은 PEiD를 통해 검출이 가능하나, 검출이 안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IAT를 조사하여 교차검증을 한다. [그림 1. PEiD로 패킹여부 검사하기] [그림 2. IAT가 정상적인지 확인하기] STEP2. EP(EntryPoint)를 찾는다. 보통 EP는 프로그램의 메인루틴이 실행되는 곳이기 때문에, 이곳의 주소를 찾으면 메인루틴을 찾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EP를 찾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EntryPoint = ImageBase + Base of Code 여기서는 다음과 같이 적용할 수 ..
Remote Desktop/ 윈도우 원격 데스크톱 사용한 기록 삭제하기 들어가기 전에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외부에서 내 윈도우 데스크톱을 연결해야 할 때가 있다. 혹은 노트북 대신에 데스크톱을 놓고 외부PC를 이용해 접속하는 사람들이 많다. 나 또한, 사양, 개발환경등의 문제로 노트북 대신에 외부에 있는 컴퓨터로 내 데스크톱에 접속하곤한다. STEP1. 레지스트리 지우기 레지스트리란, 일종의 설정 파일 저장소 같은 개념이다.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나면, 환경설정용으로 참고할 값이나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이다. 마찬가지로, 외부PC → 내 컴퓨터로 원격 데스크톱을 사용하면 레지스트리 기록이 남게 된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기: [Window 키] + [R] 키를 누르면 사진과 같은 창이 뜨는데, 그곳에 "regedit"을 입력하고 확인을 누른다. 레지스트리 편집기에 들어왔으면 ..
주민등록법 제7조 제3항 등 위헌소원 판결문 정리: 주민등록번호 변경이 가능해진 이유를 중심으로 결정요지 주민등록번호 유출 또는 오남용으로 발생하는 피해를 고려하지 않고, 변경을 허용하지 않는 것은 과잉금지원칙에 위배되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대한 과도한 침해라 볼 수 있다. 주민번호변경 불가에 대하여 단순히 위헌판정을 할 경우, 주민등록번호제도에 대한 근거규정이 사라지게 됨. 해당 판정에 대해 헌법불일치 판정을 하되, 2017년 12월 31일까지 개선입법이 될 수 있도록 유예함 이유 심판대상이 사건의 심판 대상은 주민등록번호 변경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주민등록법 제7조가 헌법에 위반되는지 여부, 이로 인해 청구인들의 기본권을 침해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청구인들의 주장모든 국민에게 부여된 주민등록번호는 다른 개인정보와 연결되는 중요한 정보임에도 불구하고, 불법 유출된 경우나 오,남용에 대한..
8. 소프트웨어 설치 및 삭제 (데비안 계열) 1. 자동 설치 1.1. apt-get apt-get 명령어 패키지명 옵션 설명 명령어 태그 install 새 패키지 설치 dist-upgrade 의존성을 검사하며 설치 update 새 패키지 목록 가져오기 upgrade 업그레이드 실행 remove 패키지 제거 2. 수동 설치 2.1. 파일 아카이브와 압축 tar [옵션] 파일명 *tar.gz 압축해제* tar -cvzf TA-radware.tar.gz TA-radware *tar.gz 압축* tar -xvzf TA-radware.tar.gz 파일 압축 및 해제 관련 옵션 옵션 기능 x tar로 묶은 파일을 원본 파일로 복원 z tar.gz로 압축하거나 해제 j tar.bz2로 압축하거나 해제 J tar.xz로 압축하거나 해제 옵션 기능 c 새로운 아카..
7. 리눅스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 모음 1.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 1. ps 실행 중인 프로세스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 CPU 사용도가 낮은 순서로 출력 ps [옵션] 옵션 설명 a 현재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 출력 e 모든 프로세스 정보 u 사용자 이름과 프로세스 시작 시간 출력 x 사용되고 있는 모든 프로세스들을 출력 l 자세한 정보 출력 ps aux 실행 결과에 따른 상태 설명 옵션 설명 Status VSZ 페이지 단위의 가상 메모리 사용량 RSS 실제 사용된 메모리량 TTY 프로세스와 연결된 터미널 번호 STAT 현재 프로세스 상태 (자세히 보기) TIME 총 CPU 사용 시간 COMMAND 실행 명령 ps -l 수행 결과에 따른 상태 설명 옵션 설명 Status F 프로세스 플래그 (자세히 보기) PPID 부모 프로세스 PID C ..
6. 리눅스 권한 및 그룹 설정 명령어 모음 1. 파일 속성 - rw-rw-r--(1) 1(2) admin(3) admin(4) 53(5) 2020-11-05(6) 9:48 Untitled(7) 번호 설명 (1) 파일 허가권 (2) 물리적 파일 연결 갯수 (3) 파일 소유자명 (4) 파일 소유 그룹명 (5) 파일 크기(바이트 단위) (6) 파일이 바이트 단위로 변경된 시간 (7) 파일명 2. 소유권과 관련 명령어 1. chown 파일과 디렉터리의 사용자 소유권과 그룹 소유권을 변경 chown [옵션] 소유자[:그룹명] 파일명 옵션 설명 -R 하위 디렉터리를 포함하여 디렉터리 내부의 모든 파일의 소유권 변경 3. 허가권과 관련 명령어 1. 파일 유형과 허가권 ls -l로 파일 유형과 허가권을 알 수 있음 파일 허가권의 첫 자리는 파일 유형을 기호로 ..
5. 리눅스 네트워크 & 시스템 관련 명령어 모음 1.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1. ping 서로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시켜 주는 명령어 ping [옵션] [도메인명 혹은 IP주소] 옵션 설명 -c [요청 수] ping을 보낼 횟수로 생략될 경우, 무제한으로 실행 -i [초] 신호를 보내는 시간 간격으로, 생략될 경우 1초 단위로 설정 -s [패킷 크기] 전송하는 패킷 크기를 바이트(Byte) 단위로 설정 2. traceroute 목적지 호스트까지의 경로를 표시하고 그 구간의 정보를 기록하는 명령어 traceroute [도메인명 혹은 IP주소] 3. nslookup 도메인명으로 IP주소를 조회하거나 IP주소로 도메인명을 조회하는 명령어 nslookup [옵션] [호스트명] 옵션 설명 -type=레코드 레코드 타입을 지정 레코드 설명 NS 도메인의..
4. 리눅스 디렉터리 및 파일 관련 명령어 모음 1. 디렉터리 관련 명령어 1. pwd 작업 중인 디렉터리의 위치를 나타내는 명령어 2. cd 디렉터리를 이동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cd [상대경로|절대경로] [설정경로] 이름 설명 ~ (틸다)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로 이동 . (점 하나) 현재 디렉터리 .. (점 두 개) 현재에서 한 단계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 루트 디렉터리로 이동 3. mkdir 새로운 디렉터리를 만드는 명령어 mkdir [옵션] 디렉터리명 옵션 설명 -m 디렉터리를 생성할 때 권한을 설정 (디폴트는 755) -p 상위 경로 생성 -v 디렉터리 생성 후 디렉터리의 메시지 출력 4. rmdir 디렉터리를 삭제하나, 내부에 파일이 있을 경우 삭제하지 않음 rmdir 디렉터리명2. 파일 관련 명령어 1. ls 현재 위치한 디렉터리의..